1932 ~ 1956
1932
1세 3월 15일, 강원도 원산시 현동 81
(현 북한)에서 2남 3녀 중 장남으로 출생
1939
8세 갈마초등학교 입학
1945
14세 원산공립중학교 입학
1950
19세 6.25 전쟁 발발, 7월에 고3의 나이로 인민군으로
동원되어 입대 양양 남대천변에서 포로가 되었으나 이후 풀려남
12월, 부산으로 혼자 월남 부산항 제3부두엣 부두 노동을 함
1951
20세 부산 동래 미군 JACK 부대의 경비원으로 일함
단편 「오돌할멈」 초고를 염상섭에게 보내 치하를 들음
1953
20세 부산 동래 미군 JACK 부대의 경비원으로 일함
단편 「오돌할멈」 초고를 염상섭에게 보내 치하를 들음
1955
24세 1월, 상경하여 효창동 미군 KRD기관 경비원으로 일함
『문학예술』 7월호에 황순원 추천으로 단편 「탈향」 발표하며 데뷔
1956
25세 출판사 ‘광문사’에 입사하고 하숙 생활을 하며 작품 활동
『문학예술』 1월호에 황순원 추천으로 단편 「나상」 발표
1960 ~ 1978
1960
29세 판문점 화담을 처음 참관하고 북한 기자들과 담화
1961
30세 단편 「판문점」을 『사상계』에 발표하고 제7회 현대문학상 수상
첫 단편집 「나상」이 사상계사에서 출간
1962
31세 단편 「닳아지는 살들」로 제7회 동인문학상 수상
1964
33세 『세대』지에 장편 「소시민」 연재
1965
34세 『산문시대』 동인 김승옥, 염무웅 등과 교류
문예지 『창작과 비평』 창간에 동참
1966
35세 동아일보 장편 「서울은 만원이다」 연재
「닳아지는 살들」이 번역되어 일본 월간지에 게재됨
외국어로 번역된 첫 작품
1968
37세 은평구 불광동으로 이사
1970
39세 하근찬, 이문구 등과 교류
서라벌예대(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에 출강
1971
40세 민주수호국민협의회 운영위원으로 함석헌, 장준하 등과 재야 민주화운동에 가담
1972
41세 7.4 남북 공동성명 발표 이후 북한 적십자 대표단 취재
1973
42세 베트남 파견 ‘국군방문작가단’의 일원으로 김광림, 고은 등과 베트남 방문
11월, YMCA에서 민주수호국민협의회 명의로 유신체제 반대 시국 성명
1974
43세 유신 반대 ‘61인 문인 시국성명’ 주도
‘문인 간첩단 조작사건’으로 임헌영, 김우종, 장백일 등과 서대문구치소에 수감
10월, 2심에서 집행유예로 풀려남
1976
45세 불광동 13번지로 이사, 다니자키 준이치로, 엔도 슈사쿠 등의 작품을 번역
단편 「문(問)」 발표
창작집 『이단자』(창작과비평사) 출간
1978
47세 원주 ‘김지하 석방 기도회’ 참가 후 소위 ‘노래 사건’으로 구류
1980 ~ 1998
1980
49세 대법원 기자실에서 ‘지식인 134인 시국성명’ 참석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름
1983
52세 형기 3년 6개월이 사면 복권
1985
54세 자유실천문인협의회(자실) 대표 역임
1986
55세 민주헌법쟁취 서명 운동 참가
1987
56세 자유실천문인협의회 명의로 ‘87문학인 선언’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 공동 대표 역임하며 자실 대표를 사임
‘6.25 대행진’ 등 민주화운동에 참여
1988
57세 청계출판사에서 『이호철 전집』 발간
1989
58세 장편 『네 겹 두른 족속들』(미래사) 등 출간
대한민국문학상 본상 수상
1992
61세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선출 『개화와 척사』(민족과문학사) 등 출간
1996
65세 연작소설 『남녘사람 북녘사람』(프리미엄북스) 출간하고 제4회 대산문학상 수상
1997
66세 방송위원회 위원, 경원대학교 초빙교수 역임
1998
67세 제43회 대한민국예술원상 수상
2000 ~ 2016
2000
69세 8월 15일, 남북 이산가족 상봉 때 적십자사 수행보조원
자격으로 방북하여 평양에서 누이동생을 50년만에 상봉
2001
71세 은관문화훈장 수훈
독일 프랑크푸르트 도서 전시회에 초청받아 현지에서 독회 및 심포지움 참석
2002
70세 대한민국예술원 문학분과회장 역임
국학자료원에서 고희 기념 『이호철 문학선집』 전7궈너 출간
제18회 요산문학상 수상
2004
73세 예나 대학에서 프리드리히 실러 메달 수여
중국, 미국, 독일 등에서 『남녘사람 북녘사람』, 『소시민』 등이 번역 출간
2010
79세 민병모 엮음으로 이호철 소설 독회록 『선유리』(미뉴엣) 출간
『가는 세월과 흐르는 사람들』(글누림) 출간
2011
80세 팔순 기념 이어령 등 문인 87명의 글을 모은 문집 『큰산과 나』(국학자료원) 출간
사단법인 이호철문학재단 발족
2012
81세 제53회 3·1문화상 예술상 수상
「판문점」 속편을 52년 만에 출간
2013
82세 소설집 『무궤도 제2장』(북치는마을) 출간
2015
84세 『별들 너머 저쪽과 이쪽』(2009)을 개제한
『남과 북 진짜진짜 역사읽기』(자유문고) 출간
2016
85세 4월, 은평구 국립한국문학관 유치 추진위원장으로 추대 및 토크콘서트 출연
6월, 은평구 불광동에 ‘이호철길’ 조성
9월 18일 향년 만 84세로 타계